본문 바로가기

김딴딴의 해외주식

고급 전기차 스타트업 루시드 그룹(LCID) 전망, 주가 회복할 수 있을까?

반응형

전기차 시장이 계속해서 커지면서 관련 주식들도 관심을 많이 받아왔다.

테슬라는 수 년 째 한국인이 보유하고 있는 미국주식 1위를 차지하고 있고,

전기차 배터리 소재인 이차전지는 올해 국내주식의 단연 핫 키워드 중 하나였다.

루시드 그룹은 럭셔리 전기차 브랜드로 2007년에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생각보다 꽤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테슬라 부사장이자 이사회 멤버였던 버나드 체와 오라클의 부사장이었던 베테랑 엔지니어 샘 웽이 설립하며 많은 관심을 받았었다.

올해 나락의 끝으로 가고 있는 루시드 그룹, 주가가 회복할 수 있을까?

 

루시드 그룹(LCID)

루시드 그룹은 2007년 버나드 체와 샘 웽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아티에바(Atieva)라는 이름의 스타트업으로 시작되었다.

버나드 체는 과거 테슬라 초기 멤버 중 하나로 당시 미국 내 최고의 배터리 엔지니어였다.

당시 테슬라를 퇴사한 엔지니어들 중 다수가 아티에바로 모였고,

루시드 그룹으로 바뀐 현재도 테슬라 출신의 엔지니어들 다수가 일하고 있다고 한다.

루시드 그룹 차량
루시드 에어

 

루시드 그룹은 럭셔리 전기차 브랜드를 지향하며 라이벌도 테슬라가 아닌 메르세데스 벤츠의 S클래스 같은 프리미엄 세단이라고 한다.

전기차 뿐만 아니라 EV 파워트레인 및 배터리 시스템까지 설계,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회사다.

2018년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에서 약 10억 달러(약 1조 1,000억원) 투자협약을 체결하며 엄청 핫해졌었다.

현재도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가 60.22%의 지분율을 가지며 최대주주로 있다.

 

2020년 1월, 미국과 유럽에서 루시드 에어 사전예약을 개시하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그해 9월 나스닥에 상장도 하게 되었다.

2021년 초에는 처칠 캐피탈 IV SPAC 합병 얘기가 돌며 엄청난 주가 상승도 이끌었었다.

하지만 현재 생산도, 판매도 기대에 못미치는 실적으로 주가는 2022년부터 곤두박질을 치고 있다.

최고 주가가 $60이 넘었었는데 현재는 $6 수준으로 1/10 밖에 되지 않는다.

 

올해인 2023년 7월, 2,173대의 차량을 생산한 반면 1,404대 밖에 인도하지 못했다는 결과를 발표하면서 많은 우려를 자아내고 있고,

공급망 문제가 어느정도 해결되었음에도 인도된 숫자가 기대치에 한참 못미치면서

수요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들이 제기되면서 주가가 폭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루시드 에어 퓨어트림 가격을 5,000 달러 가량 인하했고, 투어링과 그랜드투어링 가격도 최대 1만 2,400 달러 가까이 인하했다.

루시드 그룹은 럭셔리 브랜드로서 라이벌이 테슬라가 아니라 벤츠의 S 클래스라고 했지만 결국 테슬라 모델 S보다 가격이 낮아지게 되었다.

 

그래도 루시드 그룹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볼 수 있는 요인은 사우디아라비아가 뒤에 있기 때문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에 공장을 건설 중에 있고 사우디아라비아 국가산업의 전환과 친환경에너지 사업으로의 중요한 역할을 기대받고 있다.

공공투자기금 주관 하에 사우디의 석박사들이 루시드 인턴십 프로그램으로 교육도 받고 있다고 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향후 10년 동안 루시드 그룹에서 5만 ~ 10만대 가량의 전기차를 구매하기로 합의도 했었다.

사우디를 등에 업고 계속해서 매출을 증대시켜 나간다면 루시드 그룹의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루시드 그룹 주가 흐름 및 전망

루시드 그룹은 상장 후 반짝 주목을 받으며 엄청난 주가 상승을 했었지만,

2021년 12월부터 현재까지 끝을 모르고 하락에 하락을 거듭하고 있는 중이다.

루시드그룹 주봉차트
루시드 그룹 주봉차트

 

2021년 11월에 최고 $57.75 이후로 줄곧 하락하여 현재 $6 수준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다.

루시드 그룹의 악화되는 영업활동 현금흐름, 생산비용 증가, 수요 부진 등 여러 악재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루시드 그룹 재무정보
루시드 그룹 재무정보

 

매출이 조금씩 늘어나긴 하지만 손실은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고 영업활동 현금흐름도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2분기 실적 발표에서도 주당순손실 $0.4로 전망치를 소폭 하회했고 전년과 비교해도 21.21% 가량 하락했다.

매출도 전망치를 하회한 수치로 발표했다.

 

인도량도 올해 초만해도 2만대 정도를 전망했었는데 현재는 약 1만대 정도 인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여전히 적자를 면하기는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위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희망도 없지는 않은데, 가장 큰 희망은 사우디아라비아다.

2분기에 30억 달러의 자금을 조달 받았고 이는 2025년까지는 충분히 버틸 수 있을 정도라고 한다.

올해 11월에 그래피티라는 대형 SUV를 공개하고 내년 하반기에 출시할 예정인데,

전기차 시장에서 얼마나 주목을 받을 수 있을지, 얼마나 판매가 될 수 있을지도 희망사항 중 하나일 듯 하다.

그래피티의 평가가 좋다면 그에 대한 기대감으로 주가회복을 노려볼 수도 있겠다.

 

일부 투자 전문가들 중 루시드 그룹을 높게 평가하고 있기도 하다.

컨센서스는 대부분 중립/보유 의견을 내세우고 목표주가 역시 높지 않지만,

루시드가 배터리 기술력이 상당하기 때문에 판매량만 뒷받침 되어준다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을거라고 보는 것이다.

 

주가가 굉장히 저점에 있기 때문에 미래를 바라보고 지금부터 투자를 감행하는 것도 나쁜 판단은 아닐 수 있다.

최초로 라이다 센서를 탑재하고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배터리 시스템 등 기술력으로는 충분히 인정 받고 있고,

아직 전기차 시장이 커지지 않았고 가격 이슈가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에 럭셔리 전기차에 대해 아직 소비자들의 마음이 열리지 않았을 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너무 장밋빛으로 볼 수 많은 없는게...

생산량에서의 성장도 그닥 보이지 않고 테슬라도 가격을 인하하는 판에 럭셔리 전기차가 앞으로도 얼마나 먹힐지,

인도량 실적과 전망만 보더라도 미래가 밝지는 않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에 너무 의존적이기 때문에 갑자기 사우디가 등을 돌려버린다면 단숨에 회사가 사라질 수도 있는 상황일 수도 있다.

현재는 과감한 투자보다는 당분간 관망이 좋지 않을까 싶다.

우선 그래비티가 공개되고 시장의 반응을 보는 것이 필요할 듯 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