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김딴딴의 해외주식

노후준비? 아니요! 재테크 수단으로 연금저축계좌 만들어 연말정산 세액공제 받고 미국배당주 ETF 투자도 하는 법

반응형

노후준비라고만 생각하면 너무 먼 일 같고 국민연금 내봤자 받을 수 있을지 없을지도 불투명하고..

"연금" 이라는 것은 아직 나에게는 와닿지 않는 불필요한 단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재테크라면?

돈을 불리는 수단으로써 나의 포트폴리오 중 하나라면?

똑같은 상품이라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가 오늘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하게끔 만들었다.

노후준비 목적이라는 생각보다는 재테크 수단으로 연금저축계좌 만든 후기를 공유해보려고 한다.

 

연금저축계좌란?

연금저축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봤는데 연금저축계좌, 연금저축보험, 연금저축신탁 등... 뭐가 이리 종류가 많은지?

차이점은 어디서 운용하는가? 의 차이이다.

연금저축계좌는 내가 직접 ETF나 펀드에 투자할 수 있는 계좌를 만드는 상품으로 증권사에서 운용하고,

연금저축보험은 원금보장이 가능하나 매월 변동되는 공시이율이 적용되는 상품으로 보험사에서 운용하고,

연금저축신탁도 원금보장이 가능하나 수익률 저조로 신규 개설이 중단된 상품으로 은행에서 운용한다.

 

나는 직접 미국주식에 투자하고 있기도 하고 내가 직접 ETF, 펀드 등 직접 투자를 하고 싶어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하였다.

미국주식을 하고 있는 미래에셋증권을 통해 온라인으로 한 5~10분? 정도 걸려서 계좌를 개설하였다.

미래에셋증권 연금/상품 탭에서 계좌 개설 가능하다
미래에셋증권

 

내가 연금계좌가 없다면 연금/상품 탭에 가면 자동으로 계좌가 없다며 신규 계좌를 개설하겠냐고 팝업이 뜬다.

처음 개설했기 때문에 나는 신규개설을 하였는데 다른 증권사의 연금계좌를 이전할 수도 있다.

계좌 2개를 만들어서 이체해야지~ 라는 생각은 금물!

옮기겠다고 생각이 들면 계좌 이전하기를 통해 만들어야만 한다.

 

신분증 촬영과 얼굴인식, 투자성향진단 등 몇 가지 절차를 걸치니 바로 계좌개설이 되었다.

계좌개설이 되었다고 끝이 아니다!

납입액이 1원이라도 있어야 최초가입일 확정이 된다.

최초가입일을 기준으로 만 5년의 적립만기일이 세팅이 된다.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계좌에 입금된 금액 기준으로 자동으로 국세청에 신고가 되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나중에 만 55세가 지나서 수령은 어떻게 할까?

연금수령 금액을 내가 정할 수 있는데 한도는 "연금계좌의 평가액 / (11 - 연금수령연차) x 120%" 로 설정할 수 있다.

1년 차 때는 연금계좌의 12%까지만 받아갈 수 있다는 뜻이다.

 

 

연금계좌 세액공제 혜택

연금저축계좌 개설의 가장 큰 목적은 연말정산 세액공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흔히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투자수익률 또는 배당주에 투자한다면 배당수익률,

적금을 한다면 적금이율 등으로 돈을 조금씩 조금씩 불려나갈텐데,

연간 수익률이 10%면 어마어마하다고 생각되지 않는가?

투자는 10%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는 법이고,

적금은 아무리 높아봐야 3~5% 수준이다.

 

연금저축계좌는 세액공제만으로 13.2~16.5%를 공제하여 세금을 환급해주니...

매년 수익률 13.2~16.5%를 먹고 가는 것과 다름 없다.

총 급여액
(종합소득금액)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 세액 공제율 세액 공제액
5,500만원 이하
(4,500만원 이하)
600만원
(IRP 포함하면 900만원)
16.5% 최대 99만원
(IRP 포함 시 149만원)
5,500만원 초과
(4,500만원 초과)
13.2% 최대 79.2만원
(IRP 포함 시 119만원)

 

연금저축계좌만 개설했다고 하면 시기와 상관없이 1년에 600만원만 넣으면 연봉에 따라 최대 79.2 ~ 99만원까지 세액공제를 해주는 것이다.

600만원 투자해서 이만큼 확정적으로 버는 것이다.

세상에 이런 투자가 어디있음??

 

연금저축계좌 단점

단점이라고 한다면 만 55세가 될 때까지 돈을 못뺀다.

이게 유일한 단점이자 가장 큰 단점이다.

적금도 돈이 묶이는게 싫어서 2년, 3년짜리는 쳐다보지도 않는데...

만 55세까지 못뺀다니....

만 55세면 우리 딴딴이는 도대체 몇 살이야....ㅋㅋㅋㅋㅋ

아무튼 내가 노후준비로의 연금저축을 생각지도 않았던 이유가 사실 이것 때문이기도 했다.

당장 목돈이 필요하면 어떡하지, 내가 만 55세 전에 어떻게 될 줄 알고, 만 55세 될 때 증권사는 살아있대?

이런 우려들로 지금껏 외면해왔지만...

그래 내 인생의 장기 포트폴리오로 봤을 때 이것 또한 나의 포트폴리오 중 하나일 뿐! 이라고 생각하자.

 

그리고 워렌버핏이 얘기했잖아? 주식 종목에 10년 이상 들고있을거 아니면 사지도 말라고...

넣고 빼고 자유로우면 내 성격에 10년 이상씩 한 종목을 쭈~~욱 들고있는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니

이번 기회에 10년 이상 보유하는거 그거 한번 해보자!!

 

 

미국형 ETF 투자하기 

나는 미국주식만 투자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연금저축계좌로 개별종목은 아니지만 미국주식에 투자할 수 있을까?

역시 좋은 세상답게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지수를 추종하거나 여러 미국 주식 종목들로 상품을 운용하는 ETF가 있다.

그 중 나는 장기 포트폴리오 답게 안정적이면서 배당까지 받을 수 있어 복리효과를 누릴 수 있는 ETF에 투자하기로 했다.

 

수 많은 미국형 ETF가 있지만 그 중에 나는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에 투자하기로 결심했다.

한국판 SCHD라고도 불리는 우리나라에서도 아주 유명한 ETF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 ETF 어디에 투자해야되지.. 종류도 너무 많고 뭐가 뭔지도 모르겠다! 싶을 때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냥 투자하라! 라고 해도 뭐 Not bad 이네~ 라고 할 정도라고 보면 된다.

우리나라에 한국판 SCHD라고 하는 ETF가 크게 3가지가 있다.

운용사가 어디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구분/상품명 SOL 미국배당다우존스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운용사 신한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 미래에셋자산운용
최초상장일 2022년 11월 15일 2021년 10월 21일 2023년 6월 20일
총 수수료 0.274% 0.229% 0.1004%

 

비교적 최근에 상장한 미래에셋자산운용에서 만든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나는 다른 것 볼 것 없이 총 수수료가 가장 저렴해서 이 ETF로 선택했다.

 

어차피 한 번 계좌에 돈 들어가면 못빼는거 워렌버핏 말처럼 개별 기업은 아니긴 하지만 장~~기 투자 한 번 해보자!

세액공제로 매년 연말정산도 잔뜩 환급받고 장기투자 하면서 수익률과 배당금의 콜라보가 어떻게 복리효과를 만들어내는지도 지켜보고,

아주 먼 훗날이지만 노후준비도 어느정도 자연스럽게 했다고 할 수 있고!

아무런 재테크를 하지 않아도 연금저축계좌 하나쯤 만들어두는건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것 같다!

반응형